정현지   Jeong Hyun Ji

Communication Design

jackietheunibunny@gmail.com

+82(0)10.8717-8350

프로젝트 우쥬우주 [Would You Woojoo]

‘우쥬우주’는 반려인형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의인화, 스토리텔링,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와 인형 사이의 관계성을 이어나갈 수 있게 도와준다. 즉, 상상친구 및 반려인형으로의 의미 확장을 목표로 한다.

01. INTRO

누구나 살면서 한 번 쯤 인형에 대한 경험이 있다.
침대 머리 맡에 항상 두고 자던 경험,
외출할 때 함께하던 경험,
더 나아가 인형에게 남에게는 말하지 못할 속마음을 털어놓는 경험 등
다양한 경험들이 있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나이를 먹어가며 인형과 점점 멀어져 결국 인형은 방치되거나 버려진다.

프로젝트 우쥬우주는 인형의 의인화를 위한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스토리
-스토리 연계 굿즈
-sns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
을 통해 인형이 단순히 사물적인 속성만을 띄고 있는 것이 아닌 언제 어디서든 함께하는 나만의 상상 친구가 될 수 있도록 인형과의 관계를 지속 가능하게 도와주는 프로젝트이다.

즉, 인형에서 반려인형으로 의미가 확장 되는 것이다.
-
Everyone has their own memories with dolls once in a life,
various of experience like sleeping beneath with dolls every night,
perhaps hanging out with them,
or maybe confessing one’s own secrete to their little friend which could not be told to no one.

As days pass, less the time being spent with dolls
and eventually they go by the wayside and get abandoned.

‘Project Would You Woojoo(universe)’ helps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dolls as they become your own imaginary friend.
Through personifying each dolls using
-customizing system
-story
-narrative items
-and gamification with SNS
these friends surpass their own materialistic attribute.

They eventually stay with users despite of time and space, extend their identities from ordinary dolls to dolls with companionship.

02. BACKGROUNG

인형을 단순히 사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나의 친구처럼, 마치 인형에게 생명이 있어 살아 움직인다 생각한다.
그리고 그들을 하나의 주체로 대하며 함께 사진을 찍고 sns에 업로드하며 추억을 만들어 나가는 흐름이 있다.

인형이 카메라 프레임 안에 들어와 있을 때 사용자가 상상을 통해 구축하고 부여한, 사용자와 인형사이의 관계성과 인형의 생명력이 포착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자연스럽게 생긴 새로운 인형 놀이 형태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
이는 인형과 함께하는 과거의 한정적인 놀이 방법에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놀이 방법을 인형과 함께하는 새로운 놀이 방식이라 정의내리고 이를 통해 인형의 상상친구, 반려인형으로의 의미 확장을 하려고 한다.
-
Personally insisting each dolls have their own breathe to live and animate, the conception refuses they are mere objects but a friend. Also, one of the popular trends is to treat the dolls as a real existence and build up memories through taking photos and upload them on SNS.

Not only it’s vitality but also relationship between the doll and user is established through his or her imagination, which all get caught when the doll is in camera’s frame.

This natural, new kind born doll play has been extended from original style and been formed both in online and offline. Using this fresh definition, I look forward to enlarge ‘imaginary’, ‘companionate’ characteristics of doll itself.

03. HOW TO -story

-customizing

어떻게 하면 사용자들이 인형을 의인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생각을 했을 때 떠오른 첫 번째는 커스터마이징이다.

기존의 인형들처럼 인형의 형태가 한가지의 디폴트 상태로 모두 똑같이 생겼기보다는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사용자들의 취향이 담긴 나만의 인형을 친구로 맞이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코트컬러, 눈, 입모양을 커스텀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두어 각 커스텀 부위마다 인형의 성격, 좋아하는 것, 특징 등이 연관되어있게 하여 사용자가 인형을 의인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The first step to help users to personify their own dolls is to use customizing system.

Through differentiating present dolls with customized dolls, users could combine their own taste and make one and only unique friend instead of sharing only default appearance.

Also, decorating traits such as coat color, eyes, or lip shape are related to doll’s own persona, contributing each users to personify the doll.

-goods

스토리를 기반으로 연계되는 굿즈들을 통해 인형의 실재감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디지털화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물성을 띄고있어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는 굿즈들은 수집이라는 재미를 부여한다. 직접 볼 수 있고 손에 잡히는 물성의 특징을 통해 나의 컴패니언인 유니버니가 단순한 인형이거나 허구의 존재가 아니라는 것에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해준다.
-
Actual products, the goods connected with story help to solidify existences of dolls.

Because they make visual and tactical interactions in real life, the materials prompt amusement of collecting them. The idea of interactive sources gives persuasion of companionship of ‘Uni-bunny’ and its existence in non fictional.

(1) uni-bunny(universe bunny)

리서치와 인터뷰를 통해 인형의 외형은 동물처럼 익숙하고 패러디성이 강할수록 친근함을 느끼기 쉽다는 것을 알게되어 그 중에 토끼를 선정했다.

그리고 사용자와 여행을 하고 맛집을 다니며 외부에서 즐거운 활동을 하는 부분이 탐험이라는 요소가 떠올라 자연스럽게
<달에서 온 우주토끼의 지구 모험> 이라는 스토리를 구상하게 되었다.
-
Researches and interviews had allowed to know that appearance of doll is much more closer to individual when it has familiarity such as animals or contains strong parody.

The bunny was logical option to choose the doll’s main form, and combining the source of ‘exploration’ based on traveling, sightseeing, and amusing activities, led to conform a story about.

(2) ticket

유니버니는 단순한 인형이 아닌 컴패니언, 즉 친구라는 개념이기 때문에 기존 인형처럼 물건을 구매하듯이 클릭 한 번에 구매할 수 있는 프로세스는 맞지 않다 생각한다.
그래서 단순히 즉시 구매를 통해 인형과 만나볼 수 있는 것이 아닌 중간 장치를 통해 인형과 만나는 과정을 기획하였다.

티켓을 신청하고 받게 되면 티켓의 고유 번호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는 기능을 넣고자 한다.
-
Since ‘Uni-bunny’ steps closer as one’s companion and friend, preexisting purchasing process won’t match with the project. Instead, the project designed intergrade process to meet with the loving friend.

Once the user apply for ticket, it’s own serial number maintains to access customizing system.

(3) student record card

유니버니는 학교, 스카우트에 소속된 학생이기 때문에 학생 기록부를 보유하고 있다.

학생 기록부에는 유니버니의
-코드넘버(티켓 시리얼 코드)
-유니버니의 닉네임
-컴패니언(사용자)의 이름
-지구도착시기
-매리트 뱃지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정보
가 기술되어있다.

즉 커스터마이징에 따라 각기 다른 학생기록부가 제공된다.
-
‘Uni-bunny’ is a student and assigned to school scout whom has it’s own student record.
In the record book, there are information about -bunny’s code nubmber(ticket serial code)
-nick name
-name of the companion(the user)
-arrival time on Earth
-Merit-Badge
-and customizing

Depending of customizing process every different record books are provided.

(4) merit badges

코스모스 모험단은 컵스카우트의 성격을 띄고 있어 메리트뱃지 시스템이 존재한다.
메리트 뱃지란 특정 미션들을 수행하면 받을 수 있는 어워드 개념의 뱃지인데, 인형과 함께 해당 뱃지의 외부 활동 및 경험을 하고 인증샷을 찍어 공식계정을 태그 후 인증을 받으면 뱃지가 배부되는 시스템이다.
-
"Cosmos Journey" follows ‘Merit-Badge’ system due to it’s characteristic of cub-scout.
The term ‘Merit-Badge’ refers an award one could receive when certain missions are accomplished.
By taking photos with the doll in order to certify outer experience based on badge with hashtag, the system confirms the activity and send the badge.

(5) asterial dex and sticker

도감과 스티커는 뱃지를 아카이빙 할 수 있는 매체이다.
게임 도감 컨셉, 별의 밝기 단위인 알파/ 감마/ 베타로 뱃지의 난이도가 분류되는 부분에서 차용한 별자리 컨셉, 단순한 종이책이 아닌 해당 뱃지의 미션을 알려주는 뱃지 해석기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작업했다.
-
The dex and sticker is the material to archive the badge.
This project contains concepts like game dex,
3 levels of badge referring alpha / gamma / beta in luminosity of star, and interpreting dictionary illustrating the mission of badge.

(6) package

스토리의 맥락에 맞게 달에서 지구로 왔다는 설정을 살려 우주 캡슐을 모티브로 작업했다.
-
With following an original narrative, it has form of space capsule as they came from the moon.

Copyright 2017. Hyunji Jeong. All rights reserved.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lease do not repost my project without permission

정현지   Jeong Hyun Ji

Communication Design

jackietheunibunny@gmail.com

+82(0)10.8717-8350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 게임·놀이적 접근을 통한 일러스트레이션 및 캐릭터 디자인을 기획하고 작업한다.